*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이건 진짜 해로운가요?”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⑦ – 산화방지제 (BHA/BHT)
[목차]
📌 한눈에 보기
- 산화방지제란?
기름이나 지방이 산화되며 변색, 부패, 발암물질 생성되는 걸 막기 위한 첨가물 - 주요 성분
BHA (부틸히드록시아니솔), BHT (부틸히드록시톨루엔) - 주로 사용되는 제품
과자류, 냉동식품, 튀김유, 시리얼, 버터, 라면스프 등 지방이 포함된 가공식품 - 논란의 핵심
쥐 실험에서 종양 발생 보고 → 그러나 섭취량 기준으로는 인간 위해성 낮다고 평가됨
🍟 이 첨가물, 어디에 들어있나요?
- 감자칩, 튀김류, 라면스프
- 마가린, 냉동 피자, 비스킷, 시리얼
- 비타민 A, E 같은 산화에 민감한 영양소가 포함된 제품
→ 산패를 막고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 왜 쓰는 걸까요?
기름이나 지방 성분은 공기·열·빛에 노출되면 산패됩니다.
→ 색이 변하고, 냄새가 나며, **발암물질(예: 벤조피렌, 과산화지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산화방지제는 이를 지연시키거나 막는 역할을 합니다.
✔️ 맛과 향 유지
✔️ 보관 안정성 강화
✔️ 제품 유통기한 연장
⚠️ 정말 해로운가요?
❗ 발암물질 논란
- 1980년대 미국 국립독성프로그램(NTP) 동물 실험 결과
→ BHA 고용량 투여 시 쥐의 위 점막에서 종양 발생 보고 - 하지만 **매우 높은 용량(사람 기준 수백 배 이상)**에서 나타난 결과로
→ 일반적인 식품 섭취 수준과는 무관하다는 결론
📚 NTP Technical Report No. 118 (1983)
❗ 알레르기 및 간독성 우려
- 일부 보고에서 BHT가
→ 간 효소 변화, 알레르기 반응, 어린이의 행동변화 등과 관련 가능성 제기
→ 그러나 일관된 인체 연구 결과는 부족
🧭 논문/기관 기준으로 본 안전성
✅ WHO/FAO JECFA
BHA | 0–0.5 mg/kg 체중 |
BHT | 0–0.3 mg/kg 체중 |
📚 JECFA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34, 2006
→ 권장 섭취량 이하에서는 건강 위해성 없음
✅ EFSA (유럽식품안전청)
- BHA: 2012년 재평가 → ADI 유지
- BHT: 2021년 재평가 → 생식독성 우려로 일부 사용량 제한
→ 단, 일반 식품에서 허용된 양으로는 안전하다고 결론
📚 EFSA Journal 2021;19(9):6844
✅ 식약처
- BHA, BHT는 식품 유형별로 최대 사용량 기준을 엄격히 설정
- 예: 유지류(200mg/kg 이하), 시리얼(75mg/kg 이하) 등
- 제품 표시사항에 성분명 표기 의무화
💡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현실 팁
✅ 원재료명에서 ‘산화방지제(BHA, BHT)’ 확인 가능
→ 특히 감자칩, 냉동식품, 마가린류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 튀김유, 라면스프 등 고지방 가공식품 과도 섭취 자제
→ 산화방지제가 아닌 ‘지방 자체’가 건강에 더 큰 문제일 수 있음
✅ 민감군(어린이, 간 질환자)은 주의 필요
→ 섭취량 조절 + 천연 대체제가 포함된 제품 선택 고려
📊 요약 카드
항목 | 내용 |
사용 목적 | 지방 산패 방지, 유통기한 연장 |
주요 성분 | BHA, BHT |
사용 제품 | 과자, 냉동식품, 튀김, 시리얼 등 |
안전성 기준 | WHO/EFSA 기준 ADI 설정됨 |
논란 | 고용량 실험에서 발암 가능성, 간독성 등 |
소비자 팁 | 성분표 확인, 고지방식품 섭취 줄이기 |
2025.03.27 - [건강뉴스]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아질산나트륨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아질산나트륨
📘 “이건 진짜 해로운가요?”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① – 아질산나트륨🧃 우리가 매일 먹는 그 햄, 왜 이렇게 예쁘게 붉을까?마트에서 파는 햄, 소시지, 베이컨을 보면 특유의 붉은빛
food-nutrition.tistory.com
2025.03.28 - [건강뉴스]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소르빈산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소르빈산
🧪 “이건 진짜 해로운가요?”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② – 소르빈산안녕하세요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2탄으로 다시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무심코 섭취하고 있
food-nutrition.tistory.com
2025.03.29 - [건강뉴스]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벤조산나트륨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벤조산나트륨
🧪 이건 진짜 해로운가요?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③ – 벤조산나트륨소비자분들께서 식품 성분표를 보실 때 가장 자주 마주치는 이름 중 하나가 바로 벤조산나트륨입니다.방부제로 널리
food-nutrition.tistory.com
2025.03.29 - [건강뉴스]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MSG(글루탐산나트륨)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MSG(글루탐산나트륨)
🧪 이건 진짜 해로운가요?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④ – MSG (글루탐산나트륨)“MSG는 먹으면 머리 아프다?”한동안 ‘중국음식 증후군’이라는 용어로 불안감을 키웠던 MSG.하지만 과연 이
food-nutrition.tistory.com
2025.04.02 - [건강뉴스]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합성 착향료 딸기향 바닐라향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합성 착향료 딸기향 바닐라향
food-nutrition.tistory.com
2025.04.02 - [건강뉴스]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타르색소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타르색소
🌈 “이건 진짜 해로운가요?”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⑥ – 타르색소 [목차] 📌 한눈에 보기타르색소란?석유 유래 성분으로 합성된 인공 색소.선명한 색으로 시각적 만족을 높이는
food-nutrition.tistory.com

'건강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감미료(스테비아, 수크랄로스) (1) | 2025.04.03 |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타르색소 (7) | 2025.04.02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합성 착향료 딸기향 바닐라향 (1) | 2025.04.02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MSG(글루탐산나트륨) (7) | 2025.03.29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시리즈 - 벤조산나트륨 (0) | 2025.03.29 |
*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