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뉴스

급성 구획 증후군 (Acute Compartment Syndrome, ACS)

by 뉴트리셔니스트 2025. 3. 4.

*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1. 정의

급성 구획 증후군(ACS)은 근육과 신경이 둘러싸인 근막 구획(fascial compartment)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혈류 공급이 차단되고 조직 괴사가 발생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주로 심한 외상, 골절, 근육 손상 등에 의해 발생하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근육 및 신경 손상이 남을 수 있습니다.


2. 원인

ACS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상성 원인

  • 골절: 특히 경골 골절(tibia fracture) 또는 전완골 골절(forearm fracture) 에서 흔히 발생
  • 근육 타박상: 격렬한 운동,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인해 근육 내 출혈 발생
  • 화상: 심한 화상 후 부종으로 인해 구획 압력이 상승

2) 비외상성 원인

  • 혈관 손상: 출혈이나 혈전 형성으로 혈류 공급이 차단될 경우
  • 지혈대(Tourniquet) 사용: 오랜 시간 동안 과도하게 압박되었을 때
  • 재관류 손상(Reperfusion Injury): 장시간 혈류 차단 후 갑자기 혈류가 재개될 때
  • 과도한 운동: 근육의 피로와 부종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 (예: 장거리 달리기)

3. 병리 생리학적 기전

  1. 구획 내 출혈 또는 부종 증가
  2. 근막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 압력 상승
  3. 모세혈관 압박으로 인한 혈류 감소
  4. 근육 및 신경 조직의 허혈(ischemia)
  5. 지속적인 허혈로 인한 세포 괴사(Necrosis)
  6. 심하면 사지 절단(Amputation) 필요

4. 증상 (5P)

ACS의 전형적인 증상은 **"5P"**로 요약됩니다.

  1. Pain (통증): 초기 증상으로, 비정상적으로 심한 통증이 나타남. 특히 수동적 신장(passive stretch)에 의해 악화됨.
  2. Pallor (창백함): 혈류 차단으로 인해 피부가 창백해짐.
  3. Pulselessness (맥박 소실): 구획 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동맥이 압박됨.
  4. Paresthesia (감각 이상): 신경이 눌려 저림, 무감각, 따끔거림 발생.
  5. Paralysis (운동 마비): 심하면 근육이 기능을 잃고 움직일 수 없게 됨.

⚠️ 가장 중요한 증상은 통증이며, 특히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극심한 통증이 특징적입니다.


5. 진단

1) 임상적 진단

  • 심한 통증과 감각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평가
  • 근육의 신장(passive stretch test) 시 극심한 통증이 유발되면 ACS를 강력히 의심

2) 구획 내압 측정 (Definitive Diagnosis)

  • 구획 내압(compartment pressure) 측정이 가장 확실한 방법
  • 측정 기준:
    • 구획 내압이 30 mmHg 이상이거나
    • 구획 내압과 이완기 혈압(diastolic pressure)의 차이가 30 mmHg 이하일 경우 ACS를 강하게 의심

6. 치료

1) 응급 처치

  • 사지를 심장 높이보다 낮게 위치
  • 압박 붕대 및 지혈대 즉시 제거
  • 진통제 투여
  • 수액 치료: 혈압 유지 및 근육 괴사 방지

2) 근막 절개술(Fasciotomy)

  • 가장 중요한 치료법
  • 구획 내압이 30 mmHg 이상이거나 임상적으로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즉시 근막 절개술(fasciotomy) 시행
  • 구획을 둘러싼 근막을 절개하여 압력을 해소하고 혈류 공급을 복원

3) 후속 치료

  •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 괴사한 조직 제거 (Debridement)
  • 피부 이식 필요할 수도 있음

7. 예후 및 합병증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육 및 신경 손상 → 영구적인 기능 장애
  • 구획 내 괴사 → 감염 및 패혈증(Sepsis)
  • 사지 절단(Amputation)
  • 신장 손상 (급성 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근육 손상으로 인한 미오글로빈뇨증(Myoglobinuria) 발생 가능

8. 예방

  • 골절 및 외상 환자에서 조기에 감별 진단
  • 적절한 붕대 압력 유지 (과도한 압박 금지)
  • 지혈대 사용 시 주기적으로 풀어주기
  • 격렬한 운동 후 충분한 휴식과 수분 공급

9. 결론

급성 구획 증후군은 골절 및 외상 후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응급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여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통증이 있다면 즉시 의사를 찾아야 합니다!" 🚑

 

급성 구획 증후군 (Acute Compartment Syndrome, ACS)
급성구획증후군

반응형

*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